이번 포스팅에서는 파이썬의 기초이자 실전에서도 가장 많이 활용되는 조건문, 반복문, 그리고 리스트 응용에 대해 다룹니다. 여기에 2차원 리스트와 **문자열 포매팅(format 메서드)까지 함께 정리하였습니다.
1. if 문 사용하기
파이썬의 조건문은 if 조건식: 형태로 사용하며, 들여쓰기로 조건 만족 시 실행할 코드를 구분합니다.
if a == 10:
print("10입니다.")
1) if문
조건을 판별하여 분기하는 기본 제어문입니다. 들여쓰기가 문법의 일부입니다.
2. 중첩 if문과 if-else
if 안에 또 다른 if를 사용하는 중첩 if문도 가능합니다.
else를 사용하면 조건이 참이 아닐 경우 실행할 코드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if portal_user:
if used_market_member:
print("글쓰기 가능")
else:
print("중고나라 회원만 가능합니다.")
else:
print("로그인 필요")
1) if else
조건에 따라 다른 흐름으로 분기하는 제어문입니다.
3. elif 사용하기
elif는 "else if"의 줄임말로, 여러 조건을 순차적으로 검사할 때 사용합니다.
score = 85
if score >= 90:
print("A학점")
elif score >= 80:
print("B학점")
else:
print("C학점 이하")
1) elif
여러 조건을 순서대로 비교하고 싶을 때 사용하는 조건문입니다.
4. for와 range
for 반복문은 range()와 함께 반복 횟수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for i in range(5):
print(i) # 0부터 4까지 출력
- reversed(range())를 사용하면 역순으로 반복됩니다.
1) for문 range
정해진 횟수만큼 반복하는 데 사용하는 반복문입니다.
5. while 반복문
while은 조건식이 참일 동안 반복하며, 조건이 언제 참이 아닌 상태가 될지를 반드시 고려해야 합니다.
i = 0
while i < 5:
print(i)
i += 1
- 무한 반복은 while True: 로 만들 수 있으며, 종료 조건이 꼭 필요합니다.
1) while문
조건을 만족하는 동안 계속 실행되는 반복문입니다.
6. 리스트와 튜플 응용하기
리스트에 값 추가
a = [1, 2, 3]
a.append(4)
a.extend([5, 6])
a.insert(1, 99) # 인덱스 1에 값 99 추가
리스트 값 삭제
a.pop() # 마지막 요소 삭제
a.remove(99) # 특정 값 삭제
기타 기능
a.index(3) # 값 3의 인덱스
a.count(1) # 값 1의 개수
a.sort() # 오름차순 정렬
a.reverse() # 역순 정렬
a.clear() # 전체 삭제
1) 리스트응용
값을 추가, 삭제, 정렬하는 다양한 기능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7. for 문으로 리스트 순회
fruits = ["apple", "banana", "cherry"]
for fruit in fruits:
print(fruit)
1) for리스트반복
리스트의 각 요소에 접근하며 반복하는 대표적인 사용 방식입니다.
8. 2차원 리스트 사용하기
matrix = [[1, 2], [3, 4], [5, 6]]
print(matrix[1][0]) # 3
matrix[2][1] = 99 # 값 변경
- 2차원 리스트는 행과 열 인덱스를 이중으로 사용하여 접근합니다.
1) 2차원리스트
리스트 안에 리스트를 넣어 테이블 형태의 데이터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9. format 메서드 사용하기
문자열에 변수를 삽입할 때는 format() 메서드를 사용합니다.
name = "Alice"
age = 30
print("이름은 {}이고 나이는 {}입니다.".format(name, age))
- {인덱스}를 지정하여 순서를 바꿀 수도 있습니다.
print("{1}님, {0}을(를) 구입하셨습니다.".format("책", "홍길동"))
1) 문자열포매팅
변수의 값을 문자열에 삽입할 때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10. 딕셔너리 활용 예시
menu = {"커피": 2000, "라떼": 2500}
menu["아메리카노"] = 2300 # 추가
del menu["라떼"] # 삭제
- in을 사용해 존재 여부 확인 가능
if "커피" in menu:
print("커피는 메뉴에 있습니다.")
1) 딕셔너리활용
키-값 구조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11. 마무리
이번 포스팅에서는 파이썬의 기본적인 흐름 제어 구조인 if, for, while 문과 함께 리스트의 응용, 2차원 리스트, 문자열 포매팅 등을 학습하였습니다. 기초이지만 매우 실용적인 내용이므로 충분히 연습하고 다양한 문제에 적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1인칭 학습 시점_웹개발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파이썬 클래스 상속부터 예외처리, 모듈과 패키지까지 한 번에 정리! (0) | 2024.06.11 |
---|---|
[PYTHON] 파이썬 파일 입출력부터 클래스까지 한 번에 정리! (2) | 2024.06.10 |
[PYTHON] 파이썬 함수와 람다 표현식 완벽 정리! (1) | 2024.06.07 |
[PYTHON] 파이썬 기초 정리: 불, 논리연산자, 리스트, 튜플, 시퀀스, 딕셔너리까지! (1) | 2024.06.04 |
[PYTHON] 파이썬 기초 입문 : 파이썬이란 무엇인가? (1) | 2024.06.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