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데이터베이스3

[SQL] SQL VIEW(뷰) 개념 정리와 실습 예제 데이터베이스를 다루다 보면 복잡한 SELECT문을 반복적으로 사용할 때, 이를 더 간단하게 처리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합니다.이럴 때 사용하는 것이 바로 VIEW(뷰)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뷰(View)의 개념과 특징, 그리고 생성 및 삭제 방법에 대해 정리하겠습니다. 1. VIEW(가상 테이블)란?VIEW는 하나 이상의 테이블이나 또 다른 뷰에서 유도된 결과 집합을 저장한 가상의 테이블입니다.기존 테이블을 직접 수정하거나 복사하는 것이 아니라, 저장된 SELECT문을 통해 실행 시점에 동적으로 데이터를 보여주는 구조입니다. VIEW의 특징데이터를 직접 저장하지 않음→ 뷰는 쿼리만 저장하며, 실제 데이터는 원본 테이블에 존재합니다.복잡한 쿼리를 단순화 가능→ 여러 테이블을 조인한 복잡한 SELECT문을 .. 2024. 6. 28.
[SQL]오라클 SQL 함수 및 조인 완전 정리 (NVL, DECODE, CASE, RANK, 조인 등) 이번 글에서는 오라클 SQL의 다양한 함수와 조인 방식에 대해 학습한 내용을 정리하였습니다. 실무나 자격시험, 데이터 분석 준비에 활용할 수 있도록 NVL, DECODE, CASE, 그룹함수, RANK 함수, 그리고 조인과 집합 연산자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다뤄보았습니다. 1. NVL / NVL2 함수 NVL과 NVL2는 NULL 값을 처리할 때 사용하는 함수입니다.NVL(column, value) : 컬럼 값이 NULL일 경우 value를 반환합니다.NVL2(column, value_if_not_null, value_if_null) : 컬럼이 NULL이 아니면 첫 번째 값을, NULL이면 두 번째 값을 반환합니다.예시:-- commission_pct가 NULL이면 1로 대체하여 계산SELECT salar.. 2024. 6. 25.
[SQL] 오라클 SQL Developer 기초 사용법과 SQL 실습 정리 이번 포스팅에서는 오라클 SQL Developer를 활용한 데이터베이스 기초 학습 내용을 정리해 SQL 기본 문법부터 데이터 생성, 조회, 가공, 정렬까지 실습을 통해 익힌 내용을 기록하였습니다. 1. 오라클 프로그램 화면 기본 구성오라클 SQL Developer는 사용자가 SQL 문을 작성하고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할 수 있는 GUI 환경을 제공합니다. SQL Developer에서는 명령어 작성 시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아도 됩니다. 하지만 코드 가독성과 표준화된 작성을 위해 일반적으로는 키워드는 대문자로 작성하는 것이 좋습니다. 2. 테이블 생성 및 데이터 입력 실습다음은 members 테이블과 buy 테이블을 생성하고, 각각 데이터를 삽입한 예시입니다.DROP TABLE members;DROP TA.. 2024. 6. 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