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Git2 [GIT] Git 원격 저장소와의 동기화: clone, push, fetch, pull 개념 정리 Git을 사용하여 협업하거나 GitHub에 코드를 올리고 받아오는 과정에서 가장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가 clone, push, fetch, pull입니다.이 글에서는 각 명령어가 의미하는 바와 상황에 따라 어떻게 사용하는지를 쉽게 정리해 보았습니다. 1. clone (클론)clone은 원격 저장소(repository)를 그대로 내 로컬 컴퓨터에 복사해오는 작업을 말합니다. GitHub, GitLab 등에 있는 프로젝트를 처음 내려받을 때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git clone 원격저장소URL 예시:git clone https://github.com/username/project.git 이 명령어를 실행하면 프로젝트 폴더가 생성되고, 해당 저장소의 .git까지 포함된 완전한 로컬 저장소가 만들어집니다. 2.. 2024. 8. 14. [GIT] Git 기초 정리: 버전 관리 시스템과 깃허브 사용법 Git은 개발자뿐만 아니라 문서, 디자인 작업 등 모든 협업 환경에서 널리 사용되는 버전 관리 시스템입니다. 이 글에서는 Git의 개념부터 설치 방법, 주요 명령어, GitHub와의 관계까지 기본적인 내용을 정리하였습니다. 1. Git이란?Git은 소스코드의 변경 이력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분산형 버전 관리 시스템입니다.파일의 변경사항을 기록하고, 이전 상태로 돌아갈 수 있으며, 여러 사람이 동시에 작업해도 충돌 없이 관리할 수 있습니다.> 공식 Git 저장소: https://github.com/git/git 2. 버전 vs 패치 vs 업데이트버전, 패치, 업데이트는 모두 소프트웨어의 변경을 나타내는 용어이지만 그 의미는 조금씩 다릅니다.버전(Version): 소프트웨어의 주요 변경 사항을 구분하.. 2024. 8. 13.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