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QL] 오라클 SQL 정리 | 서브쿼리, 다중행 연산자, DML, DDL 완전정복
이번 포스팅에서는 오라클 SQL에서 자주 사용하는 서브쿼리, 다중행 연산자, DML과 DDL 명령어에 대해 정리해 보았습니다.SQL의 흐름과 구조를 이해하고자 하시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1. 서브쿼리(Subquery)서브쿼리는 SELECT문 안에 또 다른 SELECT문이 포함된 형태의 쿼리입니다. 중첩 쿼리라고도 하며, 메인 쿼리의 조건을 보다 동적으로 구성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서브쿼리 특징괄호 ( )로 감싸서 사용합니다.메인 쿼리와 서브쿼리는 단일행 연산자(=, >, 등) 또는 **다중행 연산자(IN, ANY, ALL 등)**로 연결됩니다.서브쿼리가 먼저 실행된 후, 메인 쿼리가 실행됩니다.서브쿼리는 중첩하여 여러 단계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예제-- 특정 직원의 급여와 같은 급여를 받..
2024. 6. 26.
[SQL]오라클 SQL 함수 및 조인 완전 정리 (NVL, DECODE, CASE, RANK, 조인 등)
이번 글에서는 오라클 SQL의 다양한 함수와 조인 방식에 대해 학습한 내용을 정리하였습니다. 실무나 자격시험, 데이터 분석 준비에 활용할 수 있도록 NVL, DECODE, CASE, 그룹함수, RANK 함수, 그리고 조인과 집합 연산자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다뤄보았습니다. 1. NVL / NVL2 함수 NVL과 NVL2는 NULL 값을 처리할 때 사용하는 함수입니다.NVL(column, value) : 컬럼 값이 NULL일 경우 value를 반환합니다.NVL2(column, value_if_not_null, value_if_null) : 컬럼이 NULL이 아니면 첫 번째 값을, NULL이면 두 번째 값을 반환합니다.예시:-- commission_pct가 NULL이면 1로 대체하여 계산SELECT salar..
2024. 6. 25.